SW비전공자 SW역량 향상을 위한 전공별 특성을 반영한 SW기초교육 운영
- 미래 일자리와 연계한 SW역량 향상을 위하여 현행 SW교양 교육 체계 마련과 개편
- 계열별 학생 수준에 맞춘 전교생 SW 기초교육 의무화에 따른 SW교육 과정 설계와 운영
- SW교양 역량을 겸비한 융합인재 양성을 위하여 기초융합교육원과 연계한 대학 교육정보화 추진
- SW비전공 학생 및 비전공 교수 대상 SW교육 운영
2020입학생부터 SW관련 교과목 5학점이상 필수 이수 권장
- ANU 핵심교양 ‘소프트웨어와 문제해결’ 2학점
- 융복합교양트랙 SW영역 3~6학점 이수
- 단대별 학과 특성에 맞는 SW교양 교과목 이수


SW영역 교양교과목 소개
번호 | 교과목명 | 학점 | 주요 강의 내용 | 개설학기 |
---|---|---|---|---|
1 | 소프트웨어와 문제해결 | 2 | 순서도/의사코드를 사용한 문제해결 연습 소프트웨어 활용 문제해결 접근 방식 훈련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반 문제해결 사례 학습 |
1학기 2학기 |
2 | SW실무활용 비즈니스영역 |
3 | CAD 영역 Spreadsheet, 매크로실습, 통계데이터 분석 창의적 프레젠테이션 자료 작성법 |
1학기 2학기 |
3 | 컴퓨팅사고와 프로그래밍 | 3 | 컴퓨팅사고의 기초개념/실습, 문제해결 능력 함양 간단한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의 이해 컴퓨팅사고의 현상 이해 및 코딩(Python/C) |
1학기 2학기 |
4 | SW실무활용 CAD영역 | 3 | 비즈니스 영역 기존의 “컴퓨터활용” 교과목 Spreadsheet, 매크로실습, 데이터통계분석 등 창의적 프레젠테이션 자료 작성법 |
1학기 2학기 |
5 | 컴퓨터프로그래밍 | 3 | C언어의 기초 구문 블록 코딩 vs. 텍스트 코딩을 통하여 소프트웨어코딩의 직관적 이해 비주얼 스튜디오 기반 프로그래밍 연습(Python/C) |
1학기 2학기 |
6 | 빅데이터분석 기초 | 3 | 파이썬 또는 R언어 관련 라이브러리의 활용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공공 데이터 활용 통계적 분석, 머신러닝 분석 |
1학기 2학기 |
7 | 소프트웨어융합 콘텐츠 제작 | 3 | 프트웨어를 이용한 문화 콘텐츠 제작 기획/연습 소프트웨어 콘텐츠 저작 관련 도구(어도비 포토샵/인코더 등) 실습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디지털화 3D 모델링과 3D 프린팅 |
1학기 2학기 |
8 | IoT웹프로그래밍이해와 활용 (두 영역 중 한 영역을 선택) |
3 | IoT 영역 아두이노 보드와 각종 센서 활용 코딩 앱 인벤터를 활용한 제어 앱 개발 프로세싱을 활용한 간단한 통신 및 서버 구축 ACM IT2017에 의하면 IoT는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IT기술 |
1학기 2학기 |
웹 기술 영역 인터넷과 연계된 HTML5, CSS를 기반 웹프로그래밍 및 앱 인벤터 등 모바일 앱 코딩 |
1학기 2학기 |
|||
9 | 인공지능의 이해 | 3 | 인공지능의 목적, 원리, 활용 및 윤리 소개 앱인벤터를 이용한 AI 모바일 앱 제작 스마트 메이커를 이용한 AI 앱 구현 웹 기반 AI Experiment 얼굴 및 상품 인식 API + Python |
2학기 |
10 | 소프트웨어 이해와 활용 (사이버 강좌) |
3 | 4차산업혁명과 SW 역량 강화의 필요성 파이썬 프로그래밍 기초 관련 라이브러리의 설치 및 활용 초보자를 위한 실습 위주 교육 |
1학기 2학기 |